티스토리 뷰
목차
경기도 거주자를 위한 '더 경기패스'가 2024년 4월 24일부터 신청 접수를 시작했습니다! 이 제도는 경기도 내 거주하는 19세 이상 시민 중 대중교통을 월 15회 이상 이용하는 경우, 사용 금액의 일부를 환급해줍니다. 이제 아래에서 더 경기패스의 신청 방법, 지원 대상 및 범위, 그리고 K패스와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세요.
더 경기패스 신청방법
신한카드 | 우리카드 |
신한카드(체크) | 우리카드 (체크) |
신한카드(티머니앤고) | 삼성카드 |
하나카드 | 삼성카드(체크) |
하나카드 (체크) | 농협카드 |
기업은행 | 농협카드 (체크) |
기업은행(체크) | BC카드 |
KB 국민카드 | 현대카드 |
KB 국민카드 (체크) | 광주은행 |
이즐 (선불) | 케이뱅크(체크) |
DGB 유페이 (선불) |
카드사를 통해 신청할 수 있는 발급 절차가 있습니다. 웹사이트 접속 지연이나 다운될 수 있으므로,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때는 잠시 후 다시 시도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.
●더 경기패스는 5월 1일부터 홈페이지와 앱을 통해 회원가입이 가능하며,발급받은 카드 번호를 입력해야 합니다.
●카드 사용이 시작되면 경기도에 거주하는 사용자에게는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됩니다.
마음에 드는 카드를 고르세요. 신용카드, 체크카드,
선불교통카드 등 다양한 카드가 여러분을
기다기조
기존가입자인 경우
☑️4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[K-패스] 메뉴를 통해 전환 신청을 완료해야 합니다.
☑️이후 5월 1일에 K-패스 앱으로 업데이트하고 기존 계정으로 로그인하면, 4월 1일부터 사용한 카드에 대해 경기도 주소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더 경기패스 혜택이 적용됩니다.
신규 가입자의 경우
☑️5월 1일 이후 K-패스 홈페이지에서 카드를 신청하고 회원가입을 진행합니다.
☑️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하면, 혜택이 자동으로 적용됩니다.
더 경기패스 지원내용
더 경기패스 프로그램은 경기도 내 주민들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자세한 지원 대상과 범위, 그리고 환급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:
지원 대상
☑️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 내에 있는 19세 이상의 도민
지원 범위
☑️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이용 가능 (시내버스, 광역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GTX 등)
☑️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 등은 제외
지원 금액
☑️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, 교통비 실사용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
☑️2030대: 월별 교통비의 30% 환급
☑️40대: 월별 교통비의 20% 환급
☑️저소득층: 월별 교통비의 53% 환급
환급 방법
☑️카드의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:
☑️신용카드: 청구할인
☑️체크카드: 계좌 환급
☑️선불교통카드: 청구할인
이 프로그램은 대중교통 비용 부담을 줄여주어 경기도민의 일상적인 이동을 쉽고 편리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k패스와 더 경기 패스 비교
청년 대상 혜택 범위
●K패스: 19세 ~ 34세
● 더 경기패스: 19세 ~ 39세로 확대
환급 한도
● K패스: 월 최대 60회 이용 시 환급
● 더 경기패스: 이용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 환급 가능
기타 대상 및 환급 비율
● K패스: 특정 연령대 및 조건에 따라 환급 비율이 정해짐
● 더 경기패스:
40대 이상: 월별 교통비의 20%
환급 저소득층: 최대 53% 환급
2024년 5월 출시, K-패스발급 방법,사용지역, 혜택
"2024년 5월, 국토교통부는 대중교통 이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K-패스를 출시합니다. 만 19세부터 34세 청년층을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 이용자는 최대 60회까지 대중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
c.kjd6149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