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목차
2024년 4월 24일부터 시작된 '더 경기패스'는 19세 이상 경기도 거주자 대상의 대중교통 환급 프로그램입니다.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,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 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카드 중 선택하여 신청 가능하며, K-패스 대비 혜택 범위 및 환급 한도가 확대되었습니다. 자세한 신청 방법과 혜택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더 경기패스 신청 방법
더 경기패스 프로그램은 경기도 내 거주하는 19세 이상의 시민을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입니다. 신규 가입자와 기존 가입자에 따라 신청 절차가 다소 다르므로, 각각의 절차를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.
신규 가입자의 신청 절차
회원가입 및 카드 신청: 2024년 5월 1일부터 더 경기패스의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회원가입을 할 수 있습니다. 회원가입 후, 지원받고자 하는 카드 유형(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교통카드)을 선택하여 신청합니다.
카드 발급: 신청한 카드는 신청 후 몇 주 이내에 발급됩니다. 발급된 카드는 등록한 주소로 배송되거나, 직접 수령할 수 있는 옵션이 제공될 수 있습니다.
혜택 적용: 카드를 사용하기 시작하면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자동으로 교통비의 일정 비율이 환급됩니다.
기존 가입자의 신청 절차
전환 신청: 기존 K-패스 가입자는 2024년 4월 30일까지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더 경기패스로의 전환을 신청해야 합니다.
앱 업데이트: 전환 신청이 완료된 후, 5월 1일부터 K-패스 앱이 더 경기패스 앱으로 업데이트됩니다. 기존 계정 정보로 로그인하여 사용을 계속할 수 있습니다.
혜택 적용: 업데이트된 앱을 통해 기존에 사용하던 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시, 경기도 주소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혜택이 적용됩니다.
참여 가능한 카드사 목록
더 경기패스 프로그램에는 다양한 카드사가 참여하고 있습니다. 각 카드사는 신용카드와 체크카드, 그리고 선불교통카드 옵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다음은 참여하고 있는 주요 카드사 목록입니다:
신한카드 | 우리카드 |
신한카드(체크) | 우리카드 (체크) |
신한카드(티머니앤고) | 삼성카드 |
하나카드 | 삼성카드(체크) |
하나카드 (체크) | 농협카드 |
기업은행 | 농협카드 (체크) |
기업은행(체크) | BC카드 |
KB 국민카드 | 현대카드 |
KB 국민카드 (체크) | 광주은행 |
이즐 (선불) | 케이뱅크(체크) |
DGB 유페이 (선불) |
이 카드들을 통해 신청할 수 있는 절차가 마련되어 있으며, 웹사이트 접속 지연이나 다운의 가능성이 있으니 접속이 원활하지 않을 때는 잠시 후 다시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.
더 경기패스의 주요 혜택
더 경기패스 프로그램은 경기도 내 거주하는 19세 이상의 도민을 대상으로 하며,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 비용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. 이 프로그램은 대중교통 이용자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, 환경 친화적인 교통수단의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.
지원 대상과 범위
지원 대상: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 내에 있는 19세 이상의 도민입니다. 이 프로그램은 특히 자주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도민들에게 큰 혜택을 제공합니다.
지원 범위: 더 경기패스의 혜택은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에 적용됩니다. 이에는 시내버스, 광역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GTX 등이 포함됩니다. 단, 시외(고속) 버스, KTX, SRT 등 일부 교통수단은 혜택에서 제외됩니다.
지원 금액과 환급 방법
지원 금액: 이 프로그램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도민에게 교통비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줍니다. 연령대와 소득 수준에 따라 다음과 같은 혜택이 제공됩니다:
●2030대: 월별 교통비의 30% 환급
● 40대: 월별 교통비의 20% 환급
● 저소득층: 월별 교통비의 최대 53% 환급
환급 방법: 환급은 카드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이루어집니다.
● 신용카드: 대중교통 이용 금액이 매달 신용카드 청구서에 반영되어, 청구할인 형태로 환급됩니다.
● 체크카드: 이용 금액에 따른 환급액이 사용자의 계좌로 직접 환급됩니다.
● 선불교통카드: 사용 금액에 대한 환급이 카드 잔액에 바로 적립되어, 다음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K패스와 더 경기패스 비교
혜택 범위 비교
K패스와 더 경기패스는 두 프로그램 모두 경기도민의 대중교통 이용을 지원하지만, 타깃 연령대와 혜택의 범위에서 차이를 보입니다.
K패스:
● 대상 연령: 19세에서 34세의 청년층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입니다.
● 혜택 범위: 주로 청년층이 자주 이용하는 대중교통에 한정하여 혜택을 제공합니다.
더 경기패스:
● 대상 연령: 19세 이상 39세까지 확대하여 더 넓은 연령대를 포괄합니다.
● 혜택 범위: 전국의 모든 대중교통 이용 가능하며, 시외버스나 고속철도 등 일부 교통수단을 제외한 모든 지역 대중교통에서 혜택을 제공합니다.
이러한 차이는 더 경기패스가 더 많은 도민들에게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연령대의 필요를 충족시키려는 전략에서 비롯됩니다.
환급 한도 및 조건 비교
환급 한도와 조건에서도 두 프로그램은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.
K패스:
● 환급 한도: 월 최대 60회 이용 시 환급이 가능합니다.
● 환급 조건: 특정 연령대 및 조건에 따라 환급 비율이 정해지며, 사용 횟수에 따른 제한이 있습니다.
더 경기패스:
● 환급 한도: 이용 횟수 제한 없이 무제한으로 환급 가능합니다.
● 환급 조건: 연령대별로 차등화된 환급률을 제공하며, 19세 이상 39세까지의 경기도민이면 누구나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저소득층은 더 높은 비율의 환급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더 경기패스는 경기도민의 대중교통 이용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입니다. 이 프로그램을 통해 많은 도민이 대중교통을 더 자주 이용하게 되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. 지금 바로 신청하여 대중교통 혜택을 경험하세요.
2024년 5월 출시, K-패스발급 방법,사용지역, 혜택
"2024년 5월, 국토교통부는 대중교통 이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K-패스를 출시합니다. 만 19세부터 34세 청년층을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 이용자는 최대 60회까지 대중교통비를 환급받을 수 있는 혜택
c.kjd6149.com